기축통화?? 기축통화국?? 무슨말이야??(최근 대선토론 이슈)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단어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21 대선 후보들과의 토론에서

'기축통화', '기축통화국'이라는

단어가 언급이 되었습니다!!

 

또!! 경제공부를 하는 입장에서

단어 정리를 한 번안하고 넘어갈 수 없죠!!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기축통화>

'국제단위의 결제나 금융 거래의 기본이 되는 화폐를 의미한다'

라고 나무위키에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해

'전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폐'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이 국제단위!!, 전 세계적으로!!

라는 단어입니다!!

 

한국에서는 원화라는 화폐를 사용할 수 있지만

스위스 프랑을 사용해서 물건을 구매할 수는 없겠죠??

 

비슷한 개념으로 원유를 살 때

원화로 살 수 있을까요??

안됩니다....

바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폐로만 거래가 가능하죠..

 

그렇다면 기축통화!

즉, 전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폐는

무엇일까요??

출처 : 이데일리

예상하는 것처럼 바로 미국 달러($)입니다!!

미국 달러($)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화폐죠!!

 

위 자료와 같이 작년 국제 거래 중 가장 높은 비율의 통화가

미국 달러($)입니다!!

 

출처 : 이데일리, IMF

위 자료와 같이 전 세계의 외환보유액 비중을 보면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google

여담으로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알려져 있는 금!! 또한 전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화폐'는 아니니까!!

 

조금은 다른 개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기축통화의 조건>

그렇다면 한국의 원화는 왜 기축통화가 되지 못하는 걸까요??

기축 통화는 아래와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1. 통화 발행 국가의 군사력과 외교적 영향력이 커야 한다.

말 그대로 국가의 힘이 강해야 그 국가의 화폐를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화폐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2. 금 보유량이 많아야 한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금 또한 기축통화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진 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야

자국의 화폐가치가 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출처 : 세계금위원회 &amp;amp;amp;amp; 헤럴드 경제

 

3. 금융, 경제 강국이어야 한다.

위 1번과 동일한 이유겠죠?

 

4. 국가의 신용도가 높고, 물가가 안정되어야 한다.

신용도가 낮은 국가의 화폐가 기축 통화가 된다면

기축통화의 가치가 많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기축통화로써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겠죠??

이런 의미에서 기축통화를 발행하는 국가의 물가는

안정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기축통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공부하면서 느낀 건데..

기축통화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려면

아주 오래전... 뭐 금본위 제도..

달러의 역사.. 기축통화의 장단점..

끝도 없더라고요...

 

말 그대로 너무 끝도 없으니

오늘은 간단한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더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